-
[Android] 카카오 로그인 v2 API with kotlin - 1Android 2020. 10. 16. 18:03반응형
카카오 로그인을 공부하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 해볼까 합니다.
일단 카카오 내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서 앱을 등록 해줘야합니다.
앱 아이콘에는 앱에 사용할 아이콘 이미지를 넣어 주시면됩니다.
앱 이름은 스토어에 올릴 때 사용할 이름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사업자명은 회사명이나 개인 앱이라면 닉네임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가줍니다.
플랫폼을 눌러 Android 플랫폼 등록을 들어가줍니다.
패키지명에는 로그인 기능을 넣을 프로젝트의 패키지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마켓 URL는 런칭 했을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을 의미합니다.
키 해시는 디버그 키와 릴리즈 키가 있습니다.
디버그 키는 개발 환경에서 로그인 기능을 사용하려면 필수적으로 입력해야하고
릴리즈 키는 구글 스토어에 배포를 할꺼라면 입력하고 아니면 안하셔도 무방합니다.
Android key hash 구하기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try { val info = packageManager.getPackageInfo(packageName, Packag..
omod.tistory.com
여러 개발자와 같이 개발을 하는것이라면 개발자들의 디버그 키를 각각 다 입력해줘야 합니다.
그 다음 카카오 로그인 탭에 들어가서 활성화 설정을 ON으로 바꿔 줍니다.
로그인 식별 정보만이 아닌 사용자 정보도 필요하다면 동의항목 탭에 가서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allprojects { repositories { google() jcenter() maven { url 'https://devrepo.kakao.com/nexus/content/groups/public/' } } }
이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들어가서 build.gradle(Project)에 maven 부분을 추가해줍니다.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com.kakao.sdk:v2-user:2.0.3" ... }
build.gradle(app)에 최신 버전으로 추가해줍니다.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com.example.sample"> <!-- 인터넷 사용 권한 설정-->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application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
AndroidManifest 상단에 인터넷 권한을 추가해줍니다.
<string name="kakao_app_key">네이티브 앱 키</string>
string.xml 에 아까 카카오 홈페이지에서 추가한 앱의 [내 애플리케이션] > [앱 설정] > [요약 정보]에 나와있는
네이티브 앱 키를 붙여넣습니다.
<meta-data android:name="com.kakao.sdk.AppKey" android:value="@string/kakao_app_key" /> <activity android:name="com.kakao.sdk.auth.AuthCodeHandler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VIEW"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DEFAULT"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BROWSABLE" /> <data android:host="oauth" android:scheme="kakao[네이티브앱 키]" /> </intent-filter> </activity>
AndroidManifest에 위의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kakao뒤에 [네이티브앱 키] 부분에 발급 받은 네이티브 앱 키를 넣어줘야합니다.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import com.kakao.sdk.common.KakaoSdk class GlobalApplication : Application() { override fun onCreate() { super.onCreate() KakaoSdk.init(this, getString(R.string.kakao_app_key)) } }
GlobalApplication.kt를 만들어서 Sdk를 초기화 시켜줍니다.
<application android:name=".GlobalApplication" ....... />
그다음 AndroidManifest에서 application의 name 속성을 .GlobalApplication 으로 바꿔줍니다.
이렇게 하면 카카오 로그인 기능을 쓸 준비가 끝납니다.
[Android] 카카오 로그인 v2 API with kotlin - 2
https://omod.tistory.com/94 [Android] 카카오 로그인 v2 API with kotlin - 1 카카오 로그인을 공부하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 해볼까 합니다. 일단 카카오 내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서 앱을 등록 해줘야합니
omod.tistory.com
반응형'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trofit2 + RxJava 에서 Header 가져오기 (0) 2020.12.06 [Android] 파일 공유 대응 방법(File Provider) (0) 2020.11.13 Fragment 통신 (setTargetFragment, Listener) (0) 2020.10.07 BindingAdapter에서 margin 설정하기 (0) 2020.09.24 [Android] Task (0) 2020.09.02